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600328
한자 豪族
영어공식명칭 Hojok
영어의미역 Hojok
영어공식명칭 Hojok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이순엽

[정의]

신라 말·고려 초의 정치적·사회적 변동을 주도한 순천지방세력.

[개설]

호족은 신라 하대의 혼란기에 각 지방에서 경제적인 부 또는 군사적인 실력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고, 일정 영역을 지배한 지방세력이다. 신라 말기에 새로운 사회세력으로 등장하였고, 그 세력기반은 중앙이 아닌 지방사회에 있었다. 또한, 일정한 영역에 대해 독자적인 지배권을 행사하고 있었으며, 고대적 골품제에서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신라 골품귀족이나 고려 문벌귀족과는 대비되는 신라 말·고려 초의 정치적 지배세력이라 규정할 수 있다.

신라 말기에 중앙에서는 150년간 왕이 20명이나 교체되었고, 김헌창(金憲昌)의 난이 일어나는 등 왕위를 놓고 진골귀족들의 치열한 쟁탈전이 벌어졌다. 중앙에서의 왕위 쟁탈전은 왕권은 물론 지방에 대한 통제를 약화시켰다. 이 때 지방에서는 스스로 성주, 장군이라고 칭하며 지방의 행정, 군사, 경제권을 장악한 독자적인 세력이 등장하였는데, 이들이 호족이다. 이들은 스스로 성주나 장군, 심지어는 왕을 칭하기까지 하였다. 이들은 지방을 직접 다스리면서 관리를 두어 세금을 거두었고, 농민 세력을 모으는 한편, 개인적 성향이 강한 불교 종파인 선종을 신봉하고 새로운 사회 건설을 추구하며 6두품과 연합하여 고려를 건국하는 중심 세력이 되었다.

이들 호족 중에는 왕건처럼 지방을 기반으로 성장한 세력, 궁예처럼 신라 왕족 출신으로 지방으로 내려온 세력, 장보고와 같은 해상 세력, 견훤과 같은 군사 세력도 있었다. 다시 말해 호족의 출신은 지방 토착세력인 촌주계층, 해상활동을 통해 부를 축적한 해상세력, 지방 관청의 하급 관리인 ‘리(吏)’ 출신, 개간이나 농업경영을 통하여 부를 축적했던 부유한 농민층 등으로 출신 배경은 매우 다양하였다.

[순천과 호족의 탄생]

9세기 중반 순천의 북부내륙 지역은 해상무역보다는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내륙 토호세력이 장악하고 있었다. 남부는 해안지역으로 포구가 있었고, 장보고(張保臯)의 휘하에 들어갔을 것이며, 장보고 사후 지역별로 독자성을 지니면서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이때 순천 지역에 대두하여 활동한 호족박영규(朴英規)김총(金惣)이다.

순천 지역은 한반도 남해 연안에서 해상교통의 요지에 해당하였다. 물산이 풍부한 섬진강 수계의 주요 거점으로서 내륙 수운을 통하여 보성과 곡성 및 구례까지 직접 연결되었으며, 남쪽이 바다와 연결되는 천혜의 지리적 여건을 가지고 있어서 해상활동을 전개하는 데 매우 적합한 지리적 여건을 갖추고 있었다. 즉 고려 초에 해룡산에는 ‘해룡창(海龍倉)’이란 조창(漕倉)이 설치되어 있었다. 해룡창은 사비포(沙飛浦)에 위치하였는데, 992년(성종 11)에 조양포(潮陽浦)로 명칭이 바뀌었다. 조양포는 현재 순천시 홍내동의 망월산[해룡산] 인근에 있었다. 또한, 조선시대에 ‘해창(海倉)’이 설치되었는데 현재 순천시 해룡면 해창리의 해안에 위치하였다. 해창이 있던 포구는 세곡(稅穀)을 운송하는 곳이었다. 이처럼 고려 초부터 조선시대까지 순천시의 남부해안지대 즉 순천만은 해상운송 혹은 해상교통의 주요한 근거지였다.

[후백제와 견훤]

견훤(甄萱)은 신라의 중앙군으로 경주에서 근무하다가 서남해의 방수군(防戍軍)이 되었다. 순천만과 광양만을 끼고 있는 순천 지역에서 방수군으로 근무하면서 군사적 기반을 마련하였고, 또한, 순천 지역에서 처음 거병(擧兵)하였고, 이어 무주의 동남쪽에 위치하는 순천 지역을 중심으로 한 군현을 장악한 다음에 무주를 습격하여 거점으로 삼아 왕을 자칭하였다. 이렇듯 순천 지역은 견훤이 방수군(防戍軍)으로 근무하였던 지역이고, 신라에 반기(叛旗)를 들고 거병하였던 지역이며, 거병 이후에 처음 장악하였던 군현들의 중심이었던 지역이다. 순천 지역이 견훤정권의 초기 세력기반이자 모태였다고 규정할 수 있다.

[대표 호족: 박영규와 김총]

박영규는 신라 말에서 고려 초의 시기에 순천 일원을 근거로 해상활동에 종사함으로써 성장한 해상세력 출신의 호족이다. 해룡산 아래 조양포 일원을 근거로 삼아 활동하면서 해상세력을 장악하여 해상무역의 이익을 차지함으로써 상당한 부를 축적하여 경제적 기반을 확고하게 하였다. 이러한 경제적 기반을 토대로 순천 지역의 유력한 대호족(大豪族)으로 성장하였고, 순천 지역의 군장(君長)으로 군림한 인물이다. 박영규가 해상활동의 거점으로 삼았던 해룡산 일원에는 해룡산성이 있다.

박영규는 견훤의 딸과 혼인함으로써 견훤의 주요한 정체세력이 되었으며, 순천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즉 견훤의 사위이자 후백제의 장군으로 정권의 유력자로서 후백제의 군사적 팽창과 해상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후백제가 군사 활동을 펼치고 중국이나 일본과 교류하는 사안에 있어서 박영규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비중을 차지하는 인물이었다.

박영규는 936년(태조 19) 신검(神劍)이 정변(政變)을 일으키자 고려에 귀부(歸附)하였다. 박영규박영규의 두 아들은 개경에 거주하면서 중앙의 관료체제에 편입되었다. 박영규는 세 딸을 각각 왕건(王建)의 부인과 정종의 왕후로 납비(納妃)하였다. 이렇게 왕실과 중첩된 혼인관계를 맺음으로써 박영규 가문의 정치적 지위는 매우 높아졌다. 이후 박영규 가문은 광종의 호족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의 과정에서 정치적으로 몰락하였다.

박영규는 후백제와 고려 초기에 왕실과 혼인을 통해 정치적 기반을 공고히 다졌다. 아울러 박영규의 본거지였던 순천 지역에 대한 장악력도 더욱 높여서 사후(死後)에 순천 지역의 해룡산신으로 추앙받게 되었다.

김총은 여수반도를 무대로 활동하던 해상세력 출신의 호족으로, 여수 지역에 토착적 세력 기반을 가지고 여수 지역을 실절적으로 지배하고 있었다. 인가별감(引駕別監)이라는 관직에 있으면서 견훤의 핵심적인 측근 인물로서 활약하였다. 김총순천만과 광양만 일대에서 군사 활동을 하던 견훤의 휘하에서 견훤과 동고동락하던 방수군(防戍軍) 출신이었다.

김총은 견훤이 봉기하던 초기 순천을 비롯한 전라남도 동부 지역 호족들의 지지를 끌어냄으로써, 견훤이 무주를 점령하고 새로운 왕조를 창업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하였다. 나아가 견훤의 핵심 측근으로서, 후백제 정권이 전주 지역을 아우르고 공주까지 그 영향력을 확대해 가는 데에도 이바지하였다.

김총은 견훤의 초기 핵심병력이었던 방수군 출신의 군인이었기 때문에 견훤정권이 성립된 후에도 계속 견훤에게 충성을 바치면서 중요한 군사적인 임무를 담당하면서 활약하였다. 견훤의 핵심 측근으로서 후백제왕 견훤을 섬기며 살다가 후백제인(後百濟人)으로 생을 마쳤다. 김총은 사후 순천의 성황신으로 추앙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