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600560
한자 誡初心學人文-諺解-木板
영어공식명칭 Printing Woodblocks of Gyechosimhaginmun
영어음역 Printing Woodblocks of Gyechosimhaginmun
영어공식명칭 Printing Woodblocks of Gyechosimhaginmun
이칭/별칭 초발심자경문
분야 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종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577년연표보기 - 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16년 9월 1일연표보기 - 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 보물 제191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 보물 재지정
현 소장처 순천 송광사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지도보기
원소재지 순천 송광사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출토|발견지 순천 송광사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성격 목판
재질 나무
크기(높이,길이,너비) 19.2~23.5㎝[높이]|69.3~75.7㎝[길이]|2.8㎝[너비]
소유자 순천 송광사
관리자 순천 송광사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에 소장하고 있는 1577년 불교에 입문한 초심자들에게 교훈이 될 만한 승려의 글을 모아서 판각한 목판.

[서지사항/간행사항]

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1158~1210]의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신라 원효(元曉)[617~686]의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고려 말 야운(野雲)의 「자경서(自警序)」를 차례로 언해하고, 이어서 사법어(四法語)로 일컬어지는 「환산정응선사시몽산법어(晥山正凝禪師示蒙山法語)」, 「동산숭장주송자행각법어(東山崇藏主送子行脚法語)」, 「몽산화상시중(蒙山和尙示衆)」, 「고담화상법어(古潭和尙法語)」를 배치하였다. 그 뒤에 「시각오선인법어(示覺悟禪人法語)」와 「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尙法語略錄)」을 함께 판각하였다. 목판은 총 45판이 현전(現傳)한다.

[형태]

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은 전체 47판 중 45판이 전해지는데, 각 목판은 대략 세로 19.2~23.5㎝, 가로 69.3~75.7㎝, 두께 2.8㎝이다. 대부분의 목판은 양면에 판각하였고 광곽의 크기는 세로 18.4㎝, 가로 27.8㎝이다. 글자는 반곽 7행 15자로 원문을 새기고, 바로 이어서 한글 언해를 새겼다. 「자경서」가 끝나는 부분에 ‘만력오년정축하전나도순천지조계산송광사유판(萬曆五年丁丑夏全羅道順天地曹溪山松廣寺留板)’, 즉 “만력 5년 정축년(1577) 여름 전라도 순천 조계산 송광사에 목판을 보관한다.”라는 기록이 적혀 있다. 이를 통해 다른 곳에서 판각한 목판을 1577년(선조 10) 순천 송광사에서 보관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주지(住持) 극인(克仁), 간선화사(斡善化師) 계희(戒熙), 서(書) 정수(正修)·교희(敎熙)·도원(道元)이라는 인명이 보이므로 계희가 판각을 감독하고 정수 등 3명이 글씨를 썼음을 알 수 있다. 각수는 태준(太俊)과 숭인(崇印), 연판은 인관(印觀)이 맡았다.

[특징]

명칭은 서지학의 관례에 따라 맨 처음에 나오는 제목인 ‘계초심학인문’을 대표 서명으로 삼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계초심학인문’은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이라고 불린다. 여기에 실린 글들은 불교에 입문하여 아직 구족계를 받지 못한 사미승(沙彌僧)들이 공부하던 교재이다. 사미승을 교육할 목적으로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언해하여 판각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은 현존하는 『초발심자경문』의 언해본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므로 초역(初譯)일 가능성이 있다. 2016년 9월 1일 보물 제1910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이 간행된 16세기 후반은 불교 강원교육이 정착되어가던 시기이므로 『초발심자경문』의 판각은 강원교육의 정착에 이바지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