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600447
한자 松廣寺慈覺國師澄靈塔
영어공식명칭 Jingryeongtap Pagoda for State Preceptor Jagak of Songgwangsa Temple
영어음역 Jingryeongtap Pagoda for State Preceptor Jagak of Songgwangsa Temple
영어공식명칭 Jingryeongtap Pagoda for State Preceptor Jagak of Songgwangsa Temple
이칭/별칭 송광사 자각국사탑,송광사 징령탑
분야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엄기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송광사 감로암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지도보기
성격 부도|승탑
양식 팔각당형
관련 인물 자각국사 도영
재질 화강암
크기(높이) 2.5m
소유자 순천 송광사
관리자 순천 송광사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에 있는 고려시대 자각국사 정열의 부도.

[건립 경위]

현재 송광사 자각국사 징령탑의 주인공인 자각국사(慈覺國師)의 행적을 알 수 있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다. 다만 송광사 자각국사 징령탑에 남아 있는 명문으로 시호가 자각(慈覺), 탑호(塔號)가 징령(澄靈)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자각국사가 1301년(충렬왕 27)에서 1308년(충렬왕 34) 사이에 수선사에서 입적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이 시기에 송광사 자각국사 징령탑이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송광사 자각국사 징령탑순천 송광사 경내에서 감로암 뒤편으로 형성된 조계산 자락의 능선 위에 있다.

[형태]

송광사 자각국사 징령탑은 사각형 지대를 3단으로 올린 다음 낮은 중대석이 결구된 기단부를 마련하였다. 하대석은 하부에 높고 낮은 각형 2단의 팔각형 받침대를 마련하고, 그 위에 복련문을 장식하였다. 하대석 상부에는 각형 2단의 괴임대를 마련하여 중대석을 받치도록 했다. 중대석은 평면 팔각형으로 모서리마다 세로로 연주문 기둥을 세워 장식하였다. 중대석 상부에는 각형 2단의 받침단을 마련하여 상대석을 받치고 있으며, 상대석은 8엽의 앙련문[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무늬]이 장식되어 있고 연화문 외곽을 돋을대처럼 입체감 있게 조각하였다. 상대석 상면에는 팔각으로 홈을 마련하여 탑신석[탑의 몸체]이 견고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했다.

탑신석은 평면 팔각 석주형(石柱形)으로 좌우 너비보다 상하로 길쭉하게 치석 하였다. 남면에는 사각형[44×10㎝]으로 구획한 후 그 안에 세로로 ‘자각국사징령지탑(慈覺國師澄靈之塔)’이라고 새겨 주인공을 알 수 있도록 했다. 옥개석은 하부에 사각형의 서까래와 부연을 마련하여 겹처마를 표현했고, 처마부는 수평으로 치석 하였다. 낙수면의 마루 끝에는 고사리문 형태가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한 귀꽃을 양각하였는데, 돋을새김이 약하여 평면적인 수법을 보인다. 낙수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치석 했는데, 가운데를 약간 오목하게 하여 곡선형을 이루고 있다. 옥개석 정상부에는 원형으로 1단의 상륜받침대를 마련하였다. 상륜부는 하부에 복련문이 장식된 복발형 받침대를 마련한 후 그 위에 보주[탑의 가장 꼭대기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구슬 모양] 받침대를 올렸으며, 원구형처럼 다듬은 보주석을 올려 마무리하였다. 한편, 송광사 자각국사 징령탑의 제작 기법과 양식은 2세였던 송광사 진각국사 원조탑을 충실하게 계승하였다.

[현황]

송광사 자각국사 징령탑은 산의 능선을 일정한 넓이로 깎아 평평하게 조성한 다음 앞쪽에 석축을 쌓았다. 송광사 자각국사 징령탑을 보호하기 위하여 주변에 낮은 담을 쌓았다. 송광사 자각국사 징령탑은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으로 원래의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송광사 자각국사 징령탑은 전체적인 구조와 양식 등이 송광사 일대에 건립된 16국사 부도들과 강한 친연성을 보인다. 이로 보아 송광사를 중심으로 특정한 장인집단들이 활동하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송광사 자각국사 징령탑송광사에 건립된 다른 부도에 비하여 연화문의 표현 기법, 중대석의 모서리마다 연주문 기둥을 세운 점, 마루 끝에 귀꽃을 표현한 점 등에서 장식화가 진전된 경향을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