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600382 |
---|---|
한자 | 順天五聖山城 |
영어공식명칭 | Oseongsanseong Fortress, Suncheon |
영어음역 | Oseongsanseong Fortress, Suncheon |
영어공식명칭 | Oseongsanseong Fortress, Suncheon |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행정리 산 118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 |
집필자 | 박태홍 |
현 소재지 | 순천 오성산성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행정리 산118
![]() |
---|---|
원소재지 | 순천 오성산성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행정리 산118 |
성격 | 산성 |
양식 | 테뫼식 |
크기(높이,길이,둘레) | 710m[둘레]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과 주암면의 경계를 이룬 오성산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산성.
순천 오성산성에 대한 기록이 확인되지 않아 첫 축조 시기는 확인할 수 없다. 다만 순천 오성산성 내부에서 확인된 유물을 통해 볼 때, 산성의 축조는 적어도 통일신라시대로 추정된다.
순천 오성산성은 순천시 승주읍과 주암면의 경계를 이룬 오성산[606.2m] 정상에 있다. 순천 오성산성의 정상부는 평탄한 편이고 동쪽과 서·북쪽으로는 절벽이 있다. 남서쪽에 광주-순천 간 호남고속도로가 뻗어 있고, 서북쪽에 평야가 한눈에 보이며, 북쪽으로 유치산[530.2m]이 있다.
순천 오성산성은 정상부를 감싸고 있는 테뫼식 산성[산정식 산성, 산봉우리 중턱쯤에 한 바퀴 휘돌아 쌓는 형식]이다. 축성은 토석혼축을 하였으며, 석축은 주로 능선 위에 있고 그 밖의 구간은 토축을 하였다. 성곽의 둘레는 710m 정도이며, 평면의 형태는 남-북 방향으로 길게 능선을 따라 부정형을 이루고 있다. 성곽은 동쪽이 높지만, 남서쪽이 낮고, 정상부에 건물지로 추정되는 세 개의 평탄면이 있다. 순천 오성산성의 북쪽 끝자락에 우물지로 추정되는 곳이 있는데, 성내에서 가장 낮은 곳에 해당한다.
순천 오성산성의 동·서·남·북 4방향으로 각각의 능선에만 석축을 하였는데, 대부분 무너져 있고, 서벽 일부 석축이 남아 있다. 나머지 부분은 자연 지형을 이용하여 토축하였다. 북서쪽의 성벽에 내벽으로 보이는 석렬이 있어 이 부분은 협축식으로 추정된다. 토축 벽의 경우 자연 경사면을 이용하여, 경사면을 깎아 성벽을 만들었다.
순천 오성산성은 순천 지역에서 백제의 둔지현, 통일신라시대의 부유현 치소였던 주암면 창촌[현 순천시 주암면 창촌리]으로 오는 마지막 관문과 같은 역할을 하는 곳이다. 순천 오성산성에서 서쪽을 보면 창촌 일대가 한눈에 들어오며, 동쪽으로는 순천시 승주읍에서 넘어오는 큰 길이 훤히 내려다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