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600387 |
---|---|
한자 | 順天大安里小安窯址 |
영어공식명칭 | Soan Kiln Site in Daean-ri, Suncheon |
영어음역 | Soan Kiln Site in Daean-ri, Suncheon |
영어공식명칭 | Soan Kiln Site in Daean-ri, Suncheon |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소안길 239[대안리 101-3] |
시대 | 고대/삼국 시대 |
집필자 | 한성욱 |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대안리 소안마을에 있는 백제시대 도기 가마터.
순천 대안리 소안요지는 순천시 해룡면 대안리의 소안마을 남쪽에 있는 대안저수지 위 염소목장에 있다. 순천 대안리 소안요지는 소안마을과 대안저수지 사이의 구릉 남쪽 경사면으로 염소들이 노닐면서 겉흙이 삭토되어 가마 벽체와 천정이 노출되어 있으며 유물들도 주변에 흩어져 있다.
순천 대안리 소안요지는 순천대학교가 1996년부터 순천 검단산성 주변 유적을 조사하면서 확인된 백제시대의 가마터이다.
순천 대안리 소안요지는 아궁이와 연소실 일부가 파괴되었으나 나머지는 비교적 잘 남아있다. 가마 아랫부분에서는 재와 도기, 기와 파편 등이 확인되며, 윗부분에는 점토와 소토 등이 퇴적되어 있다. 가마 전체 길이는 현재 알 수 없으며, 노출된 가마의 크기는 높이 145㎝, 외벽 너비 165㎝, 내벽 너비 145㎝, 상우측벽 두께 24㎝, 상좌측벽 두께 18㎝이다. 가마의 장축 방향은 남-북이다. 수습된 도기들은 짧은 목에 외반된 구연과 타날문이 시문된 호가 중심을 이루며, 나머지 파편들도 비교적 크기가 큰 기형으로 전형적인 백제시대의 도기들이다. 순천 대안리 소안요지에서 기와 파편도 확인되고 있어 어느 시기에는 기와도 함께 번조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순천 대안리 소안요지에서 확인되는 도기들의 기형적 특징으로 보아 생활 용기보다는 무덤에 넣은 부장용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순천 대안리 소안요지 주변 지역에서 백제 고분이 발견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순천 대안리 소안요지에서 동남쪽 2.5㎞ 떨어진 곳에 백제 석성인 순천 검단산성이 있어 가능성을 더하고 있다.
순천 대안리 소안요지는 백제시대의 도기가 발견되어 순천 검단산성과 함께 백제시대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순천 대안리 소안요지 주변 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통해 백제 고분의 존재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