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600479
한자 松廣寺圓鑑國師碑
영어공식명칭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gam at Songgwangsa Temple
영어음역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gam at Songgwangsa Temple
영어공식명칭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gam at Songgwangsa Temple
분야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장모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226년 - 충지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293년 1월 10일 - 충지 사망
건립 시기/일시 1314년연표보기 - 송광사 원감국사비 건립
보수|복원 시기/일시 1701년 - 송광사 원감국사비 중건
현 소재지 송광사 감로암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지도보기
원소재지 송광사 감로암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성격 비석
관련 인물 원감국사 충지
재질
크기(높이,너비,두께) 217㎝[전체 높이]|96㎝[귀부 높이]|181㎝[비신 높이]
소유자 순천 송광사
관리자 순천 송광사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감로암에 있는 원감국사 충지의 비석.

[건립 경위]

송광사 원감국사비원감국사(圓鑑國師) 충지(沖止)[1226~1292]의 생애를 기록한 탑비이다. 송광사 원감국사비는 김훈(金曛)이 왕명을 받들어 비문을 짓고, 1314년(충숙왕 1) 문인(門人)인 대선사(大禪師) 정안(靜眼)과 대선사 진적(眞寂) 및 신열(神悅) 등이 비석을 세웠다. 조선시대에 송광사 원감국사비가 마모되어 1701년(숙종 27) 김형오(金亨五)가 글씨를 써서 다시 세웠다.

[위치]

송광사 부도암에서 산길을 따라 160m 정도 올라가면 감로암이 있고 그 앞에 세워져 있다.

[형태]

송광사 원감국사비의 귀부 바닥에 4매의 장대석을 귀부 외곽으로 결구하여 지대석을 마련하였다. 귀신(龜身)은 비교적 높게 마련하여 사방에 발이 살짝 튀어나오도록 하여 형식화 경향을 보인다. 귀부 앞쪽에는 굵은 목덜미를 직립형으로 마련하였는데, 귀두(龜頭)를 높이 쳐들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목덜미 앞쪽에는 좌우로 일정한 너비를 구획하여 주름문을 가득 표현하였는데, 상부로 올라가면서 좁아지도록 했다. 귀두는 귀부의 규모에 비하여 크게 마련되었다. 입은 굳게 다물고 있는데, 이빨이 정연하게 노출되도록 했다. 눈·코·귀 등이 돌출되도록 하였는데, 세밀하거나 역동적인 측면은 다소 떨어진다. 그리고 입 좌우로 갈퀴형 문양이 펼쳐져 있는데, 길이가 비교적 짧고 규칙적으로 표현되어 생동감이 떨어진다. 반면 귀두는 다른 귀부에서는 보기 드문 상향이다. 귀두의 방향은 멀리 세워져 있는 원감국사 보명탑(圓鑑國師 寶明塔)을 향하도록 의도적으로 배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귀부 중앙에는 장방형의 비좌를 설치하여 비신을 받고 있는데, 상부가 타원형의 비신에는 전후 면에 비문이 음각되어 있다. 비신 앞면 상단에 전서(篆書)로 ‘원감국사비명(圓鑑國師碑銘)’이라고 제액하였다. 비제는 해서(楷書)로 ‘조계산수선사제육세원감국사비명병서(曹溪山修禪社第六世圓鑑國師碑銘幷序)’라 하였다. 후면에도 송광사 원감국사비의 건립 음기가 기록되어 있으나 마모가 심하여 정확한 내용을 알 수 없다.

[금석문]

원감국사 충지가 장흥에서 태어나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하다가 원오국사(圓梧國師) 천영(天英)를 찾아 출가하여 감로사·정혜사에 주석하였고, 원에 가서 세조의 사부로 대우받고 돌아와 상무주암에서 수행하다 수선사 제6세 사주가 되었으며, 수선사에서 7년간 주석하다 입적하여 조계산 북동에 탑을 세운 생애를 기술하고 있다.

[현황]

송광사 원감국사비송광사 감로암 입구의 경작지 앞에 세워져 있다. 송광사 원감국사비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각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비석의 글씨는 마모가 심하여 알아보기 힘들다. 송광사 원감국사비 관리는 순천 송광사에서 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송광사 원감국사비는 1314년에 건립한 비를 조선 후기인 1701년에 비문을 제외하고는 비수, 비신을 다시 제작한 탑비이다. 이수가 생략되고 비신이 방형이 아닌 타원형을 이루고 있어 고려 후기에 건립된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등과 같이 간략화된 형식을 보인다. 송광사 원감국사비는 재건립 당시 기존의 탑비를 모방하여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어 고려 후기 탑비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