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600522 |
---|---|
한자 | 順天樂安邑城-窓- |
영어공식명칭 | Ttoechangjip House in Naganeupseong, Suncheon |
영어음역 | Ttoechangjip House in Naganeupseong, Suncheon |
영어공식명칭 | Ttoechangjip House in Naganeupseong, Suncheon |
이칭/별칭 | 구 이한호 가옥 |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읍성안길 143[남내리 102-1]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남호현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순천 낙안읍성 안에 있는 조선시대 세워진 전통 가옥.
순천 낙안읍성 뙤창집은 순천 낙안읍성 남문으로 들어간 뒤 서쪽 길가에 위치해 있다. 순천 낙안읍성 들마루집과 이웃하고 있다.
순천 낙안읍성 뙤창집은 ‘구 이한호 가옥’으로 불렸다. 안방과 작은방 전면의 출입문 양옆 바닥쪽으로 작은 창을 설치하였는데, 이 창이 있다고 해서 ‘뙤창집’이라고 명칭을 변경했다.
순천 낙안읍성 뙤창집은 죽담[대나무로 만든 담]의 대문을 들어서면 안마당이 있고, 안채는 안마당의 깊숙한 곳에 동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안채 앞쪽에는 헛간채가 있고 서남쪽 죽담 모서리에는 측간[화장실]이 있다.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1칸반이며, 서북쪽 끝에서부터 부엌·큰방·작은방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큰방 앞에는 반칸 너비의 개방된 툇마루가 있고, 작은방 옆에는 1칸반 크기의 헛간이 있다. 출입문 양옆 바닥 쪽으로 작은 창[뙤창, 혹은 눈꼽째기창]을 설치하였다. 가구(架構)[기둥이나 공포 위에 얹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나 구조물의 총칭]는 3량(梁)이며, 평주(平柱)와 고주(高柱) 사이의 툇보는 곡선으로 휜 부재를 설치했다. 대공과 종도리의 결구는 대공 끝에 구멍을 내어 종도리를 끼웠다. 서까래는 비교적 굵은 소나무를 썼다.
순천 낙안읍성 뙤창집은 1979년 1월 26일 국가민속문화재 제94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순천 낙안읍성 뙤창집은 서민주거의 일반 형식에 따른 초가로, 특히 안방과 작은방 전면의 출입문 양옆 바닥 쪽으로 작은 창을 설치한 점이 특징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