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600523 |
---|---|
한자 | 順天樂安邑城- |
영어공식명칭 | House with Wooden Floored Room in Naganeupseong, Suncheon |
영어음역 | House with Wooden Floored Room in Naganeupseong, Suncheon |
영어공식명칭 | House with Wooden Floored Room in Naganeupseong, Suncheon |
이칭/별칭 | 구 김대자 가옥 |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충민길 90[서내리 78-1]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남호현 |
문화재 지정 일시 | 1979년 1월 26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 국가민속문화재 재지정 |
현 소재지 |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충민길 90[서내리 78-1]![]() |
원소재지 |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충민길 90[서내리 78-1] |
성격 | 전통 가옥 |
양식 | 초가 |
정면 칸수 | 안채 좌우퇴가 있는 4칸 |
측면 칸수 | 안채 전후퇴가 있는 1칸 |
소유자 | 송상수 |
관리자 | 송상수 |
문화재 지정 번호 | 국가민속문화재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순천 낙안읍성 안에 있는 조선시대 세워진 전통 가옥.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은 순천 낙안읍성의 동문·서문을 관통하는 도로의 북변에 남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과거에는 이 도로를 기준으로 관아, 객사, 아사[아전이 업무를 보던 곳] 등의 관청 건물이 북쪽의 중앙부에 밀집해 있었고, 그 좌우로 약간의 살림집들이 들어서 있었다.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은 그 서쪽에 위치한 작은 집으로, 도로를 향하여 높은 담장을 두고 안마당 후면으로 남향의 안채가 있다.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은 ‘구 김대자 가옥’이라 불렸다.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 안채의 기본 목가구 골격은 전후좌우 툇간이 있는 4칸 규모의 목가구집이다. 또한, 처마 밑까지 올라오는 담을 부분적으로 설치하여 처마 밑 공간을 실내공간으로 만드는 동시에 서까래 하단을 받치는 구조적 기능을 겸한다.
평면은 좌측부터 부엌, 안방, 마루방, 건넌방 등의 순으로 되어 있고, 전후와 좌우로 돌린 퇴를 이용하여 전면에 두 칸 폭의 툇마루를 가설하고, 안방과 마루방은 후퇴를 실내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건넌방은 아궁이를 후퇴 공간에 두고, 측면으로도 출입문을 내어 마당에서 바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건넌방 모서리의 툇간 바깥쪽으로 처마 끝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돌각담[돌담]을 둘러 반내부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담으로 내부를 가렸고 지붕으로 그 부분을 덮었다. 기단 상부의 다듬은 바닥면을 가지고 있는 공간은 막살이집에서 봉당[마루를 깔지 않은 흙바닥으로 된 방]을 연상케 하는 반내부공간으로서 가사작업 및 수납을 위한 공간이다.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은 1979년 1월 26일 국가민속문화재 제95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은 담을 사용하여 처마 밑까지 실내로 만들어 공간을 더 넓고 다채롭게 사용하는 초가의 대표적 예이다. 또한, 규모가 작지만 재료의 치목(治木)과 결구(結構)수법에 공을 들인 흔적이 뚜렷하고, 담집과 목가구 뼈대 집의 성격을 잘 혼합하고 있기 때문에 건축학적으로 가치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