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600528 |
---|---|
한자 | 順天樂安邑城鄕吏宅 |
영어공식명칭 | Hyangridaek House in Naganeupseong, Suncheon |
영어음역 | Hyangridaek House in Naganeupseong, Suncheon |
영어공식명칭 | Hyangridaek House in Naganeupseong, Suncheon |
이칭/별칭 | 구 곽형두 가옥 |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읍성안길 95[남내리 110-1]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남호현 |
문화재 지정 일시 | 1979년 1월 26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순천 낙안읍성 향리댁 국가민속문화재 재지정 |
현 소재지 | 순천 낙안읍성 향리댁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읍성안길 95[남내리 110-1]![]() |
성격 | 전통 가옥 |
양식 | 초가 |
정면 칸수 | 좌우퇴가 있는 4칸[안채] |
측면 칸수 | 전후퇴가 있는 1칸안채] |
소유자 | 이근의 |
관리자 | 이근의 |
문화재 지정 번호 | 국가민속문화재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순천 낙안읍성 안에 있는 조선시대 세워진 전통 가옥.
순천 낙안읍성 향리댁은 순천 낙안읍성 남문의 서남쪽에 자리하고 있다.
순천 낙안읍성 향리댁은 ‘구 곽형두 가옥’이라 불렸다.
순천 낙안읍성 향리댁의 안채는 4칸의 몸채에 전후좌우로 모두 퇴를 둘렀다. 좌로부터 첫 번째 칸은 후퇴까지 포함하는 넓은 부엌이며, 전퇴 부분은 외부공간으로 삼아 부엌의 기능을 보조하는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두 번째 칸은 안방으로 전퇴는 툇마루를 두고 후퇴는 처마 밑 공간으로 비워 놓았다. 세 번째 칸은 고방[곡물을 비롯한 각종 물건을 넣어두는 방 또는 집]으로 사용하는 마루방으로서 퇴의 구성은 안방과 같다. 또한, 안방과의 사이에는 사분합문[문짝이 넷으로 되어 열리고 닫히는 문]을 달아 공간의 연결을 쉽게 하였다. 마지막 칸은 전면의 툇마루와 측면의 툇마루를 가진 건넌방이며, 후퇴에는 아궁이를 두었다.
막돌 기단 위에 덤벙주초[자연석을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 주춧돌]를 놓고 잘 다듬은 각형의 기둥을 세워 상부는 보아지[기둥과 보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해 주는 건축 부재]를 갖춘 사개맞춤[사방의 보나 도리가 기둥 위에서 맞춰지도록 이들과 기둥머리를 따 내서 엇갈리게 끼운 맞춤]으로 상부의 보와 도리[서까래를 받치기 위해 기둥과 기둥을 건너서 위에 얹은 나무]를 결구(結構)했고, 상부의 가구는 온 칸의 두 기둥을 고주(高柱)로 하고 퇴주[퇴칸에 세운 기둥]를 낮게 하여 2고주 5량가(梁架)의 형식을 하고 있다. 담장과 독립하여 순순한 목가구조로 지은 집이며, 규모도 순천 낙안읍성 내 다른 집들에 비해 큰 편이다. 마당 가운데 방형의 연못을 두었고, 집으로 이르는 고샅 역시 다른 집들과 공유하는 골목이 아닌 독자적인 것으로, 이는 집의 출입이 후면의 북쪽이 아닌 동쪽에 두고자 하는 의도에서 고샅[초가지붕을 일 때 쓰는 새끼]을 일부러 끌어들인 것이다.
순천 낙안읍성 향리댁은 1979년 1월 26일 국가민속문화재 제100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순천 낙안읍성 향리댁은 순천 낙안읍성 안에서 가장 단아하고 건실한 구조를 지녔던 초가집이다. 전후좌우에 설치한 툇간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초가이면서 담장과 독립하여 순수한 목가구조로 지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