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600905 |
---|---|
한자 | 順天左道農樂保存會 |
영어공식명칭 | Society for Suncheon jwado Nongak |
영어음역 | Society for Suncheon jwado Nongak |
영어공식명칭 | Society for Suncheon jwado Nongak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전라남도 순천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영규 |
전라남도 순천시에 있는 순천좌도농악 보존 및 계승 단체.
순천좌도농악보존회는 순천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좌도농악의 전통농악을 보존하고 저변 확대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7년 11월 9일 윤경호의 농악교실 회의실에서 이낙훈, 윤경호, 한상식 등 32명이 참석한 가운데 순천좌도농악보존회를 창립하기로 하였다. 2007년 11월 23일 순천시 장천동에서 순천좌도농악보존회 발기인 회의 및 운영위원회 회의를 열었고, 이낙훈 등 8인이 참석하였다. 2007년 12월 10일 창립총회를 개최하였으며, 운영위원장과 회장, 임원을 선출하였다. 2019년 현재 쇠퇴하는 순천좌도농악의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순천좌도농악은 고사(告祀) 농악으로서, 고사는 크게 굿과 놀이 둘로 나누어진다. 대표적인 굿으로 조왕굿[부엌], 철용굿[뒤안], 장독굿, 샘굿, 두지굿, 윗당산굿[할아버지당산], 아래당산굿[할머니당산굿]이 있으며, 놀이로는 지신밟기, 걸궁, 마당밟기, 모주털이, 판굿 등이 있다. 좌도농악의 명칭은 걸궁, 지심밟기, 마당밟기 등 지역마다 다르게 사용하지만, 순천 지역에서는 마당밟기로 사용하고 있다. 마당밟기의 순서는 길굿, 문굿, 마당굿, 부엌굿[조왕굿], 뒤안굿[철용굿], 샘굿, 장독굿, 두지굿으로 구성되어 있다.
순천좌도농악보존회에서는 순천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좌도농악의 특징을 보존하기 위하여 김영주 상쇠, 운산 이낙훈 등 각종 고증을 거쳐 순천좌도농악을 보존, 재현하고 있다. 2009년부터 순천좌도농악발표회를 개최하여 2018년까지 9회에 거쳐 진행하는 등 순천 지역민들을 위한 풍물공연 활동을 통해 지역문화의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첫 회에 진행된 판굿의 짜임새는 귀정놀이, 오방진, 술래잡이 당산, 십자놀이, 군사놀이, 상쇠놀이 쇠싸움, 북놀이, 소구놀이였다.
순천좌도농악보존회는 2013년부터 순천시 중앙동 구 승주군청 자리에서 2019년 2월 19일까지 6회에 걸쳐 시민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행사로 “500년 노거수[푸조나무] 제사 및 대보름 지신밟기”를 해오고 있고, 순천좌도농악 보존을 위한 당산제 재현을 2011년 6월 4일 순천시 조곡동 장대공원에서 개최하였다. 그 외 ‘백중놀이 어울림 한마당’ 공연, ‘향꾼에 즐기는 아고라 순천’에서 공연 등을 하였고, 전국농악경연대회에도 출전하는 등 다양한 공연 활동을 하고 있다.
순천좌도농악보존회는 2019년 현재 윤경호 회장을 비롯하여 25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