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601195 |
---|---|
한자 | 新溪-老人壯士 |
영어공식명칭 | Singyemaeul Noinjangsa(Folktale) |
영어음역 | Singyemaeul Noinjangsa(Folktale) |
영어공식명칭 | Singyemaeul Noinjangsa(Folktale)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비촌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한정훈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86년 - 「신계마을 노인장사」 『승주향리지』에 수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3년 - 「신계마을 노인장사」 한국설화연구소 블로그에 수록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3년 - 「신계마을 노인장사」 『순천 사람들의 삶에 담긴 이야기 설화』-문헌자료편에 수록 |
관련 지명 | 아들바위 -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비촌리
![]() |
성격 | 신이담|지명유래담 |
주요 등장 인물 | 할아버지|할머니|아들 |
모티프 유형 | 거인|부부-오누이|지리창조 |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비촌리 신계마을에서 전해 오는 노인 장사 부부와 아들바위에 얽힌 이야기.
「신계마을 노인장사」는 1986년 승주군에서 발행한 『승주향리지』, 2013년 한국설화연구소 블로그, 2018년 한국산업정책원에서 발행한 『순천 사람들의 삶에 담긴 이야기 설화』-문헌자료편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순천시 황전면 비촌리의 신계마을에는 ‘장검’이라 불리는 노인 부부가 살았다.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힘이 세서 한가할 때면 마당 위에서 공처럼 생긴 둥근 돌을 차고 놀았다.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돌을 찰 때마다 소리가 워낙 커서, 구례에 사는 사람들까지 들을 수 있었다.
할아버지는 섬진강 뱃사공이었다. 어느 날 장대비가 쏟아지고 강을 건너는 손님이 없을 때, 할아버지는 배를 들어서 비를 막았다. 이를 본 사람들이 할아버지를 장사라 불렀다. 마을을 지나가던 도둑이 할머니 혼자 있음을 알고, 집에 들어가 강도질을 하려고 했다. 도둑은 집안 분위기를 살피려고 과객(過客)으로 위장해서 할머니에게 밥을 주길 청했다. 할머니가 공짜 밥은 줄 수 없다면서 도둑에게 나무를 해오라 했다. 도둑은 할머니가 건네준 도끼를 받았는데, 그 무게가 너무 무거워서 들 수 없었다. 도둑은 할머니가 보통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도망쳤다.
할아버지와 할머니에게는 아들이 있었다. 그러나 어린 아들이 섬진강에서 물놀이를 하다가 죽어버렸다. 할아버지는 아들을 그리워하는 할머니를 달래기 위해서 집 앞에다 아들 모양의 바위를 세워주었다. 할머니는 아들처럼 생긴 바위를 보면서 그리움을 달랬다.
「신계마을 노인 장사」의 주요 모티프는 ‘거인’, ‘부부-오누이’, ‘지리창조’ 등이다. 이 모티프들은 신화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이다. 하지만 신화적 성격은 탈각되고, 전설화된 양상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