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601319
한자 松廣寺圓照碧岩大師塔
영어공식명칭 Stupa of Buddist Mont Wonjobyeogam from Songgwangsa Temple
영어음역 Stupa of Buddist Mont Wonjobyeogam from Songgwangsa Temple
영어공식명칭 Stupa of Buddist Mont Wonjobyeogam from Songgwangsa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모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575년연표보기 - 원조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660년연표보기 - 원조 사망
건립 시기/일시 1660년 - 송광사 원조벽암대사 탑 건립 추정
현 소재지 송광사 원조벽암대사 탑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지도보기
원소재지 송광사 원조벽암대사 탑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성격 부도|승탑
양식 원구형승탑
관련 인물 벽암대사
재질 석조
크기(높이) 285m[높이]
소유자 송광사
관리자 송광사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에 있는 조선 후기 세워진 고승 벽암대사의 승탑.

[승탑 주인공]

벽암대사(碧巖大師)[1575~1660]는 순천 송광사에서 머물며 부휴(浮休) 선수(善修)[1543~1615]의 법맥을 이은 직계제자여서, 스승인 송광사 부휴대사 탑 바로 아래쪽에 벽암대사의 승탑을 세운 것으로 생각된다.

[특징]

송광사 원조벽암대사 탑은 하단면석에 단을 마련하여 사자 등의 동물상을 조각한 점, 낮은 연화대석(蓮花臺石)을 놓고 원구형의 탑신석을 받치고 있는 점, 옥개석 하부에 신어 등이 조각되어 있어 다른 조선 후기 승탑에서는 보기 힘든 작례를 보이며, 특히 상륜부는 『계단원경(戒壇圓徑)』에 나오는 내용과 상통하고 있어 금산사 방등계단의 석종 상부와 강한 친연성을 보인다.

[건립 경위]

백곡 처능의 『대각등계집』「벽암대사행장」에 “벽암대사가 1660년(현종 원년) 입적하자 다비식을 거행한 후 조계산 송광사, 지리산 화엄사, 속리산 법주사 등에 분사리하여 봉안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송광사 원조벽암대사 탑은 1660년 벽암대사의 입적 후에 제자들에 의해 분사리하여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위치]

송광사 효봉영각(曉峰影閣) 옆 대나무 숲을 따라 약 300m 정도 올라가면 송광사 부도암(율원)이 있다. 부도암 앞에 송광사 부도전이 있는데, 이 부도전 2단에 송광사 원조벽암대사 탑이 있다.

[형태]

송광사 원조벽암대사 탑은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는 팔각의 지대석을 마련하였으며, 그 위에 높직한 대석을 놓아 탑신을 받치도록 했다. 중대석이나 상대석 등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 기단부가 간략화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대석은 팔각(八角)으로 크게 상하 2석으로 치석(治石)하여 결구(結構)하였다. 하단 면석부에는 모서리마다 굵직한 기둥을 세워 각 면을 구획한 후, 그 안에 운문(雲紋)과 사자상으로 추정되는 동물상을 새겼다. 상단은 난간형으로 치석하여 그 안에 탑신이 놓이도록 하였다. 난간은 동자주(童子柱)를 세우고, 그 위에 화문(花紋)을 장식하여 연꽃의 잎사귀를 분명하게 표현한 점이 주목된다. 난간 안쪽으로는 원형으로 된 낮은 연화대석(蓮花臺石)을 마련하여 원구형(圓球形) 탑신석을 받치도록 했다. 이러한 기단부 수법은 다른 석조부도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기법이다.

탑신석 앞면에 음각으로 “원조벽암대사지탑(圓照碧巖大師之塔)”이라 새겨 이 부도의 주인공이 벽암 각성임을 알 수 있다.

옥개석은 팔각으로 치석되었는데, 하부에 신어(神魚) 등 다양한 동물상을 배치하였다. 처마의 모서리 부분을 높게 치켜 올려 조로수법이 분명하게 표현되도록 했으며, 낙수면은 유려한 곡선을 이루며 내려오고 있다. 마루부는 가운데에 돋을대를 두어 마룻장기와까지 표현하였고, 마루 끝에는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는 고사리문 형태의 화문(花紋)을 장식하였다.

상륜부는 여러 단으로 장엄한 조각상들이 배치되어 있다. 하부는 9마리의 용두가 표현되었고, 그 위로 앙화석(仰花形)과 복발형(伏鉢形) 보주받침대가 마련되었다. 보주(寶珠)는 외곽으로 별도의 원주형(圓柱形) 받침대가 마련되어 올려져 있다.

[현황]

송광사 원조벽암대사 탑의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의의와 평가]

송광사 원조벽암대사 탑순천 송광사에 전해지는 조선 후기 승탑 중 조각 수법이 가장 뛰어나 조선 후기 전라남도 지방 승탑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