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600351
한자 順天大谷里-遺蹟
영어공식명칭 Hansil Archaeological Site in Daegok-ri, Suncheon
영어음역 Hansil Archaeological Site in Daegok-ri, Suncheon
영어공식명칭 Hansil Archaeological Site in Daegok-ri, Suncheon
분야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대곡리 288|대곡리 420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오재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5년 - 순천 대곡리 한실유적 전남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조사
현 소재지 순천 대곡리 한실유적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대곡리 288지도보기|420지도보기
원소재지 순천 대곡리 한실유적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대곡리 288|420
성격 생활유적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대곡리 한실마을에 있는 삼국시대 생활유적.

[위치]

순천 대곡리 한실유적순천시 송광면 대곡리 288송광면 대곡리 420 일대에 있다. 순천 대곡리 한실유적보성강이 북상하여 곡류하면서 형성된 충적지대에 있으며, 순천 대곡리 도롱유적보성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보고 있다.

[형태]

순천 대곡리 한실유적에서 청동기시대 주거지 2기, 지석묘 3기, 삼국시대 주거지 11기, 저장시설 1기가 확인되었다. 조사된 원삼국시대 주거지는 방형계가 주류를 이루고 A-1호 주거지만 원형계이다. 한실유적 내에서 대형에 속하는 주거지는 A-1호, B-1호, C-1호 주거지로 모두 주거지 내부에 기둥구멍이 배치되어 있다. 기둥구멍은 벽 가장자리에 비교적 고른 간격을 유지하며 6~12개를 배치하였다. A-1호와 C-3호 주거지는 바닥다짐을 하였다. 순천 대곡리 한실유적 내 주거지 내부시설로 화덕, 기둥구멍, 벽구 등이 확인되었다. 노시설은 주거지 바닥의 한쪽 모서리에 점토와 강돌을 이용해 설치한 경우가 확인되며, 장란형토기, 심발형토기, 시루 등의 유물이 목탄과 함께 출토되었다. 기둥구멍은 4주식인 경우와 벽 주위를 따라 배치된 벽주공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벽구시설은 충적지상의 집자리에서는 보이지 않고 구릉 상의 집자리에서만 나타나고 있는데, 배수구의 용도로 판단된다.

[현황]

순천 대곡리 한실유적은 1985년 주암(住巖)댐 수몰지구 지표조사 과정에서 발견되어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순천 대곡리 한실유적은 발굴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2기, 지석묘 3기, 삼국시대 주거지 11기, 저장시설 1기가 확인되었다. 순천 대곡리 한실유적의 시기는 2~5세기로 판단된다.

순천 대곡리 한실유적 출토 유물은 타날문[기면(器面)을 타날구로 두드리거나 포목이나 직물을 대고 두드려 표현한 무늬]토기가 주로 확인되며 일부 경질무문토기[硬質無文土器 ]와 함께 회청색 경질토기도 확인된다. 기종은 다양하나 심발형토기와 장란형토기가 주로 확인된다. 또한, A-1호 주거지에서는 왜계 토기[TK23~TK47형식] 1점이 출토되었으며, C지구에서 소가야계 고배편이 지표채집되었다.

[의의와 평가]

순천 대곡리 한실유적은 순천 지역과 왜 및 가야와의 교류를 보여주는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0.09.28 내용수정 "경질무문토기[민무늬토기] → 경질무문토기[硬質無文土器 ]"로 수정
이용자 의견
고*** 경질무문토기[민무늬토기] → 경질무문토기[硬質無文土器 ]

경질무문토기와 민무늬토기는 시대와 기종별로 다릅니다.
수정해주세요.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의견에 따라 내용수정을 완료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8.13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